자영업자 고용보험 등급 선택, 5분만에 끝!
월 8천원대로 안전망 장착 → 폐업 시 최소 437만원부터 챙기자
등급만 잘 고르면 위기 때 버틸 힘이 생깁니다. 방법은 단순해요.
① 한 달에 꼭 필요한 돈(월 보장액)부터 정하고 →
② 내 상황이 위험한지 아닌지 체크 →
③
환급(50~80%)으로 월 보험료를 확 낮추면 끝!
1) 먼저, “한 달에 얼마 필요?”부터 정하세요
폐업하면 매달 필요한 최소비용(집세·대출·생활비 등)을 잡고, 그 금액에 맞춰 등급을 고릅니다. 자영업자 구직급여는 “선택한 기준보수 × 60%”로 월액이 정해져요.
빠른 매칭표 (2025 기준)
- 월 약 110만원 필요 → 1등급 (1,092,000원)
- 월 약 125만원 필요 → 2등급 (1,248,000원)
- 월 약 140만원 필요 → 3등급 (1,404,000원)
- 월 약 156만원 필요 → 4등급 (1,560,000원)
- 월 약 172만원 필요 → 5등급 (1,716,000원)
- 월 약 187만원 필요 → 6등급 (1,872,000원)
- 월 약 203만원 필요 → 7등급 (2,028,000원)
외우기 팁: 필요 보장액 ÷ 0.6 ≈ 필요한 기준보수 → 가장 가까운 등급 선택
2) 다음, 내 상황(위험도)으로 한 단계 올릴지/내릴지 결정
아래 질문에 “예”가 몇 개인지 세어보세요.
- 매출이 들쭉날쭉하다(계절/경기 영향 큼).
- 가게 임대료·대출 등 고정비가 크다.
- 건강·가족돌봄으로 영업 중단 가능성이 있다.
- 창업 1~3년 차(아직 자리가 덜 잡힘).
- 외식·관광·오프라인 소매 등 경기 영향 큰 업종이다.
- 재창업을 염두에 두고 있다(지금은 실험기).
예 = 0~1개: 위험 낮음 → 필요금액보다 1단계 ↓(보험료 아끼기)
예 = 2~3개: 보통 → 그대로
예 = 4개+: 위험 높음 → 1단계 ↑(보장 조금 더)
3) 환급(50~80%)으로 월 보험료 확 낮추기
소상공인 고용보험료 지원사업을 신청하면 납부 보험료의 50~80%를 최대 5년간 환급받을 수 있어요. 그래서 “실질 월보험료”가 확 낮아집니다.
등급별 보험료(월) & 환급 적용 시 실부담 예시
등급 | 보험료(월) | 정부 환급 비율 | 실질 부담(월) |
---|---|---|---|
1등급 | 40,950원 | 80% | 8,190원 |
2등급 | 46,800원 | 80% | 9,360원 |
3등급 | 52,650원 | 60% | 21,060원 |
4등급 | 58,500원 | 60% | 23,400원 |
5등급 | 64,350원 | 50% | 32,175원 |
6등급 | 70,200원 | 50% | 35,100원 |
7등급 | 76,050원 | 50% | 38,025원 |
※ 지자체 추가 지원(+10% 등)이 있는 지역은 체감 부담이 더 낮아질 수 있습니다. 지역 공고를 꼭 확인하세요.
4) 상황별 초간단 추천
- 매출 변동 큼/고정비 큼/창업 초기 → 3~6등급 (가성비 좋고 보장도 충분)
- 매출 안정/폐업 가능성 낮음 → 1~2등급 (최소 비용으로 안전망)
- 생활비 많이 필요(가족부양·월세 높음) → 5~7등급
5) 예시로 10초 만에 이해 끝!
A씨(카페, 2년 차) — 매출 들쭉·임대료 큼 → 체크 3개 “예” → 4등급 선택
B씨(온라인몰, 5년 차) — 매출 안정·고정비 낮음 → 체크 1개 “예” → 2등급로 비용 절약
C씨(호프집, 10년 차) — 매출 변동 큼·건강 우려·고정비 큼 → 체크 4~5개 “예” → 5~6등급로 보장 강화
6) 자주 헷갈리는 부분 (딱 정리)
Q. “하루 6.4만~6.6만 원”이 맞나요?
A. 그건 근로자(직원) 기준 설명이에요. 자영업자는 1~7등급 월액으로 받습니다.
Q. 재창업 준비도 인정되나요?
A. 네. 창업 교육·컨설팅·사업계획 등 준비 단계는 실업인정에 포함될 수 있어요. 다만 영업 개시하면 수급 중단.
Q. 며칠 받나요?
A. 납부기간(피보험기간)에 따라 120/150/180/210일입니다.
한 줄 정리: 1) 월 보장액으로 등급 고르고 →
2) 위험도에 따라 1단계 조정 →
3) 환급으로 실부담 낮추기
지금 월 8천원대부터 가입해서, 위기 때 최소 437만원 챙기세요!
※ 본 글은 2025년 공개 자료를 바탕으로 한 안내 예시입니다. 세부 요건·환급 비율·절차는 관할 고용센터·근로복지공단·중기부 최신 공고를 확인하세요.